728x90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에 따르면 제주개의 천연기념물 지정 작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제주개, 천연기념물 지정 No! 분양된다?
제주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추진
제주도는 제주마(1986년 지정), 제주흑우(2013년)에 이어 제주개의 천연기념물 지정도 추진해 왔지만, 제주개는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 토종개인 진돗개, 삽살개와 달리 고증 자료가 현저히 부족한 탓
제주개 현황
제주도 축산진흥원에서 보존 중인 제주개는 현재 75마리다.
- 2019년 51마리에서 2020년 57마리, 2021년 64마리로 늘고 있다
제주개 다시 분양 검토
제주개 분양은 2018년부터 중단된 상태
2017년까진 모두 801마리가 분양됐지만, 그 이후엔 제주도 차원의 분양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
제주도 축산진흥원 관계자는 "제주개 분양 계획은 확정된 게 아니라 내부 검토 중인 사안"이라며 "분양을 재개할 경우 동물단체와 협의를 통해 진행할 것"이라고,
제주개의 특징
1999년 6월 제주도 축산진흥원에서 기르던 제주개 표본 7마리에 대한 DNA 검사 결과 순혈도가 높게 나타나 진돗개 못지 않은 혈통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
- 중국의 절강견이 한반도와 제주도에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
넓은 이마와 좁은 주둥이, 꼿꼿이 선 꼬리가 특징이며 사냥 능력이 뛰어나다.
728x90
댓글